조회 수 26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我國十八賢-10. 문정공 김인후(文正公 金麟厚, 1510 - 1560)

 

서배향(西配享) 제5위(第五位)

 
 

문묘배향인물.jpg

 


자는 후지(厚之), 호는 하서(河西), 담재(湛齋)이고, 본관은 울산(蔚山)이며, 대대로 호남의 장성에서 살았다. 부친은 참봉 김령(金齡)이며, 모친은 옥천(玉川) 조씨이다.

 

 

열 살 때 김안국(金安國)에게 『소학』을 배웠으며, 중종 26년(1531)에 성균사마시(成均司馬試)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입학했다. 중종 35년(1540)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권지승문원부정자(權知承文院副正字)가 되었고, 그 다음해에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다. 중종 38년(1543) 홍문관박사(弘文館博士)겸 세자시강원설서(世子侍講院設書) 및 홍문관 부수찬(弘文館副修撰)이 되어 세자를 보도(輔導)하였다.

 

부모 봉양을 위해 옥과 현감으로 나아갔다가 중종이 승하하자 제술관(製述官)으로 서울에 올라왔다. 그러나 채 1년도 안되어 인종이 승하하고 을사사화(1545)가 일어나자 병을 칭탁하고 낙향하였다. 그 후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 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 등에 제수 되었으나 모두 사직하고 나아가지 않았다. 김인후는 인종을 지극히 사모하여 매년 인종의 기일인 7월 1일이 되면 집 남쪽 산골짜기에서 밤새도록 통곡을 하고 돌아왔다 한다.

 

 

김인후는 조예가 초월하고 기상이 호매하여 도학, 절의, 문장을 겸비한 대표적인 학자로 손꼽히는데, 도학(道學)에 관한 저술보다는 시문집을 더 많이 남겼다. 그러나 그의 성리학적 성과는 유학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도학에 정통한 호남의 거유를 뽑자면 당연 김인후를 뽑을 수 있다.

 

 김인후는 이항(李恒)과 기대승(奇大升)이 태극음양설(太極陰陽說)에 대해 논쟁을 벌이자, 기대승의 설에 동조하였으며, 이로 인해 기대승이 주정론(主情論)을 세우는 데 중요한 일조를 하게 된다. 또한 노수신의 [숙흥야매잠해]에 대해서도 논쟁을 벌였는데, 이황은 김인후의 뛰어난 견해에 미칠 수가 없다며 극찬을 하기도 했다. 이 뿐만 아니라 김인후는 천문, 지리, 의약, 율력등에 이르기까지 두루 정통하였다.

 


정조 20년(1796) 문묘에 배향되었으며, 장성의 필암서원(筆巖書院), 옥과의 영귀서원(詠歸書院)에 제향되었다. 대광보국 숭록대부 영의정 겸 영경연 홍문관 예문관 춘추관 관상감사(大匡輔國 崇祿大夫 領議政 兼 令經筵 弘文館 藝文館 春秋館 觀象監司)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저서로는 『하서집』, 『주역관상편』, 『서명사천도(西銘四天圖)』, 『백련초해(百聯抄解)』 등이 있다.

  1. 啓聖祠에 모셔진 五聖의 考位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272
    Read More
  2. 大成至聖 文宣王 孔子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890
    Read More
  3. 孔門十哲 -10 영천후 전손사(潁川侯 颛孫師)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346
    Read More
  4. 孔門十哲 -6 서공 염구(徐公 冉求, BC 522 - 489)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365
    Read More
  5. 孔門十哲 -7 위공 중유( 衛公 仲由, BC 542 - BC 480)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301
    Read More
  6. 孔門十哲 -8 오공 언언(吳公 言偃, BC 506 - ?)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306
    Read More
  7. 孔門十哲 -9 위공 복상(魏公 卜商, BC 507? - ?)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296
    Read More
  8. 孔門十哲-1 비공민손(費公閔損, BC 536 - BC 487)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383
    Read More
  9. 孔門十哲-2 운공 염 경( 鄆公 冉耕, BC 544 -?)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380
    Read More
  10. 孔門十哲-3 설공 염옹(薛公 冉雍, BC 522 - ?)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423
    Read More
  11. 孔門十哲-4 제공 재여(齊公 宰予, BC 522 - BC 458)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388
    Read More
  12. 孔門十哲-5 여공 단목사(黎公 端木賜, BC 520 - ?)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378
    Read More
  13. 我國十八賢-1. 홍유후 설총(弘儒侯 薛聰, 650년경 - 740년경)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343
    Read More
  14. 我國十八賢-10. 문정공 김인후(文正公 金麟厚, 1510 - 1560)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263
    Read More
  15. 我國十八賢-11. 문성공 이이(文成公 李珥, 1536 - 1584)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316
    Read More
  16. 我國十八賢-12. 문간공 성혼(文簡公 成渾, 1535 - 1598)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243
    Read More
  17. 我國十八賢-13 문원공 김장생(文元公 金長生, 1548 - 1631)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238
    Read More
  18. 我國十八賢-14. 문렬공 조헌(文烈公 趙憲, 1544 - 1592)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276
    Read More
  19. 我國十八賢-15. 문경공 김집(文敬公 金集, 1574 - 1656)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238
    Read More
  20. 我國十八賢-16. 문정공 송시열(文正公 宋時烈, 1607 - 1689)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29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