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80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율곡이이와 퇴계이황의 차이점
 집권당이 전후의 사림파가 처한 상황과 집권 후 현실부정

  

이황의 사상은 이기이원론으로 집약된다. 그의 이기기원론은 주희의 이기론과 그 사상이나 구조가 같은 것이었다. 주희의 성리학은 이황보다 서른다섯 살 아래인 율곡 이이에 이르러 조선화하게 된다. 이황이 조선의 성리학을 주희의 수준까지 끌어올린 주리론적 이기이원론을 주창하였다면, 이이는 이를 한 단계 발전시킨 주기론적 이기일원론을 완성시키는 것이다.

이기이원론과 이기일원론의 차이는 정치철학에 있어서의 야당과 여당의 차이와 같은 것이다. 이황의 주리론이 재야 사림의 자리에서 현실을 비판하는 정치이념이었고, 이이의 주기론은 정권을 잡은 집권 사림의 자리에서 현실을 바라본 정치 이념으로써 현실에 대한 구체적 개혁 방안을 제시한 것이었다.

이황과 이이는 둘 다 조선을 대표하는 성리 학자이자 정치가지만, 그들이 처한 사회적 환경은 달랐다. 이황은 훈구파와 사림파가 마지막 정쟁을 벌이는 과도기의 정치가였고, 이이는 사림파가 지난한 정치 투쟁 끝에 훈구파를 물리치고 정권을 장악한 시기의 정치가였다. 이전의 사림이 재야나 야당 이였다면, 이이가 활동하던 시기의 사림은 집권당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황에게 이와 기는, 사단과 칠정은 각각 상과 현실의 반영이었다. 즉 정치세계에서 이와 사단이 사림파라면, 기화 칠정은 훈구파였다. 사화시대의 정치가였던 이황에게 현실은 부정한 훈구파가 장악하고 있는 기의 시대였다. 사회를 통해 지고한 이상이 저열한 현실에 좌절하는 것을 본 이황에게 기는 이에 의해 극복되어야 할 대상이었다. 여진족이 세운 금나라에 신사 공봉 해야 했던 송의 비참한 정치상황에서 나온 중국 민족의 중세적 세계관이 주희가 정립한 성리학이었듯이, 부패한 훈구파에게 사림파가 억압받는 상황 속에서 조선 사림파의 세계관이 이황의 이기이원론이다. 이민족의 억압과 훈구파의 억압이라는 서로 유사한 정치 상황이, 공간과 시대를 뛰어넘어 주희와 이황과 같은 이기이원론으로 이끈 것이다.

그러나 사림이 집권세력이 된 변화된 사회 속에서 현실을 바라보아야 했던 이이는 달랐다. 일단 집권한 이상, 이상과 현실을 분리해 세상을 바라보기보다는 현실 긍정의 토대 위에 개혁의 길을 걸어야 했다. 그러므로 이이에게 현실과 이상은 별개가 아니라 서로 분리될 수 없는 일체였다. 이이의 이기일원론, 나아가 이이의 사단칠정론이나 인심도심설이 이황의 사상과 달랐던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사림파가 재야나 야당이었을 때는 훈구파에 대한 부정의 논리만으로 충분했지만, 일단 집권한 이상 부정의 논리만으로 나라를 이끌어 갈 수는 없었다. 집권한 사림파에게 요구되는 것은 새로운 사회에 대한 이상과 그 실천 방안이었다. 사림파가 집권한 선조 때는 국내외적으로 난제가 충첩된 시기였다. 사림파의 영수 이이는 역사를 창업과 수성, 경장으로 시기 구분하는 역사관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는 당시를 대대적 개혁이 필요한 경장기로 보았다. 그라나 사림파는 집권 후 이런 역사적 과제를 실천하지 못하고 분열하고 말았다. 사림의 분열은 단순한 권력 다툼이 아니라 세계관의 차이 등에서 기인한 것으로 이는 당쟁으로 이여 졌다. 즉 사림파에 대한 훈구파의 공격이 사화라면, 사림파 내부이 분열이 바로 당쟁이었다. 사화의 시기가 가고 당쟁의 시기가 온 것이다.

추가사항
사단은 맹자가 시철도덕의 근거로 삼은 측은지심・수오지심・사양지심・시비지심을 말한다. 칠정은 ⌜예기⌟・⌜중용⌟에 나오는 희(僖)・노(努)・애(哀)・낙(樂)・애(愛)・오(惡)・욕(欲)을 뜻한다. 이황은, 사단은 이에서 생기고 칠정은 기에서 생긴다면서, 사단은 선과 악이 섞이지 않는 마음의 작용이라고 여겨 이와 기를 분리했다. 이에 대해 기대승은 이와 기를 분리할 수 없다는 이기공발설을 주장했으며, 이이는 이를 지지하는 이기일원론을 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 인성교육 21 수신십훈(修身十訓) - 퇴계 이황 학전 2019.05.03 439
» 인성교육- 20 율곡이이와 퇴계이황의 차이점 학전 2019.05.03 1800
19 인성교육 19 성리학과 양명학의 주요사상과 두 사상의 차이점-2 학전 2019.05.03 289
18 인성교육 18 성리학과 양명학의 주요사상과 두 사상의 차이점-1 학전 2019.05.03 1540
17 인성교육 17 백록동학규(白鹿洞學規) -朱熹 학전 2019.05.03 481
16 인성교육 16 회탐수호은(懷耽守護恩) 학전 2019.05.03 135
15 인성교육 15 어린이는 어른의 씨앗이다 학전 2019.05.03 114
14 인성교육 14 부모은중경[ 父母恩重經 ] . 학전 2019.05.03 106
13 인성교육-13 유교의 역사와 사상 학전 2019.05.03 160
12 인성독본 12 주자십회훈(朱子十悔訓) 학전 2019.05.03 770
11 인성독본 11 삼불효(三不孝) 학전 2019.05.03 150
10 인성독본 10 논어 이야기 학전 2019.05.03 440
9 인성교육-9 신증유합 新增類合 학전 2019.05.03 103
8 인성교육-8 소학(小學) 학전 2019.05.03 136
7 인성교육-7 동몽독본(童蒙讀本) 학전 2019.05.03 85
6 인성교육-6 단동십훈(檀童十訓) 학전 2019.05.03 128
5 인성교육-5 격몽요결[擊蒙要訣] 학전 2019.05.03 112
4 인성교육-4 동몽선습(童蒙先習) 학전 2019.05.03 150
3 인성교육-3 명심보감(明心寶鑑) 학전 2019.05.03 160
2 인성교육-2 사자소학(四字小學) 학전 2019.05.03 398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