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4.15 16:28

세일사(歲一祀) 축문

조회 수 693 댓글 0

 세일사(歲一祀) 축문

① 세일사 축문 한문서식

 

      維

 

檀君紀元○○○○年歲次干支 ○月干支朔 ○日干支

 

○代孫② 全義鄕校③典校④ 甲童⑤ 敢昭告于

 

  顯○代⑥祖考 ○○○○⑦府君 禮山郡守

 

  顯○代⑧祖妣  ○○⑨  ○○○氏⑩  之墓⑪

 

       代序雖遠 遺澤尙新 謹以 歲擧一祭 式薦明 

 

     饗

 

 1) 될수 있으면 종서(내려쓰기로 한다.

 2) 주①③④⑤⑦⑨⑩은 기일제사 축문을 참고해 사실대로 쓴다.

 3) 주②의 ‘○代孫’은 세일사 대상을 봉사 주인과의 대수를 쓴다.

 4) 주⑥⑧의 ‘○代’는 봉사주인을 기준으로 대수를 쓴다.

 5) 주⑪의 ‘之墓’는 묘지에서 지내는 경우이므로 위패를 모시고 지내는 때는 쓰지 않고 제단(祭壇)을 설단하고 지낼 때는 ‘之壇’이라 쓴다.

 

 

② 세일사 축문 한글서식

 

“이제

단군기원○○○○년 ○월 ○일에 ○대손 전의향교 전교 갑동은

  ○대조 할아버님  ○○○○어른과

  ○대조 할머님  ○○  ○○○씨  산소에 감히 밝혀 아뢰나이다. 비록 세

   대는 머나 끼치신 은덕은 더욱 새롭사옵나이다. 삼가 해마다 한 번 올리

   는 제의를 정성을 다해 정결하게 고루 갖추어 받들어 올리오니 두루

 흠향하시옵소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 舊墓火葬時 古墓祝 학전 2019.04.15 881
38 埋魂帛祝 학전 2019.04.15 660
37 四十九祭 撤喪祝 학전 2019.04.15 687
36 傳書告辭 아버지가 늙어서 子息에게 祭祀를 傳하는 고사 학전 2019.04.15 1653
35 虛 葬祭主祝 ( 옷을 묻고) 祭主라는 祝文 학전 2019.04.15 643
34 세일사 축문 합동제 학전 2019.04.15 1686
33 榮州鄕校 奉審 祝文 학전 2019.04.15 766
32 連山鄕校 奉審祝文(2018년 6월 20일) 학전 2019.04.15 678
31 遯巖書院 奉審祝文(6월 20일) 학전 2019.04.15 633
30 祝文(전교 지부회장 협의회 정읍향교) 학전 2019.04.15 698
29 청하서원 춘향사 축문 학전 2019.04.15 712
28 한식묘제 합설축문 학전 2019.04.15 1631
27 합동 시제 축문(合同 時祭 祝文)-납골묘에서 지낼 때 학전 2019.04.15 5770
26 龍岡書院 祝文 학전 2019.04.15 691
25 遯巖書院 秋享祀 祝文 학전 2019.04.15 626
24 啓聖祠祭 祝文 학전 2019.04.15 634
23 鄕飮酒禮(향음주례) 학전 2019.04.15 695
22 全州鄕校奉尋祝文 학전 2019.04.15 682
21 석물을 세운 뒤 묘 앞에서 지내는 축. 학전 2019.04.15 853
20 석물을 세운 뒤 묘 앞에서 지내는 축. 학전 2019.04.15 771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